카테고리 없음 / / 2023. 12. 5. 10:42

요소수 우리나라 생산 불가능?

반응형

중국에서 요소의 수출을 제한하기로 했다고 발표할 때마다 요소수 대란이 또 반복될 수 있다는 기사가 쏟아져 나옵니다. 정부가 요소수의 비축량을 늘려서 재고관리를 하기 때문에 3개월 정도 사용량은 보유하고 있다고 하나 장기적으로 요소수 수입이 막혀버리면 재고가 동이 나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왜 요소수를 못 만들까요?
 
[목차여기]
 

요소수

 
요소의 화학식은 CO(NH2)2 로, 사람이 최초로 합성한 유기 화합물이라고 합니다. 
 

요소수 분가구조 화학식 그림요소수 분자구조 그림
요소수 분자구조 그림

 
 
요소수는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에서 질소산화물을 줄이기 위해 주입하는 액체입니다. 요소는 산업적으로 암모니아(NH3)와 이산화탄소(CO2)를 반응시켜 합성하는 방법으로 제조됩니다. 이 중 암모니아는 천연가스, 액체 탄화수소 또는 석탄과 같은 연료를 사용하여 만들게 됩니다. 이렇게 생성된 요소는 농업에서는 비료로 널리 사용되기도 하고, 물과 혼합되어 요소수로 제조되기도 합니다. 
 

디젤 경유차의 요소수 주입

 
디젤 경유 차량의 경우 배기가스의 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해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로 촉매환원장치(SCR),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디젤 미립자필터(DPF) 등을 부착하는데, EGR의 경우 연비가 매우 떨어져서 보통 EGR보다는 SCR을 이용해 요소수를 주입하여 배기가스를 정화시킵니다. DPF 가 장착된 차량의 경우 요소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오염물질을 필터를 이용해 걸러줍니다. 경유차 중에서 주유구 옆에 요소수 주입구가 있는 차량은 SCR이 장착된 차량이고, 요소수 주입구가 별도로 없다면 DPF가 장착되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디젤 요소수 주입구디젤 요소수 주입구 사진
디젤 경유차 요소수 주입구 (파란색 작은 뚜껑)

 
대형 화물트럭의 경우 대부분이 요소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요소수 대란이 일어나면 물류산업에도 심각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요소수 확보에 관심을 가지고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요소의 원료 - 석탄

 

요소의 주 원료가 되는 석탄은 북반구 특히 러시아, 미국등에 집중 분포되어 있으며, 중국도 매장량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특히 낮은 인건비를 활용한 경쟁력 있는 생산단가로 전세계적으로 거래되는 요소의 많은 양을 수출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중국 정부가 석탄 및 석탄에서 얻어내는 요소의 수출을 통제하게 되면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많은 나라들이 물량 부족을 겪게 됩니다. 2021년도 요소수 대란 때는 호주가 중국으로의 석탄 수출을 제한하면서 연쇄적으로 중국이 석탄 및 요소 수출을 제한하게 된 것에 기인합니다. 
 

우리나라 요소 생산 시장

 

요소수는 생산비보다는 인건비가 훨씬 많이 소요되고, 요소를 얻기 위한 석탄 자체가 우리나라에서 생산이 거의 되고 있지 않아서 수입에 의존할 수 밖에 없습니다. 석탄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석탄은 탄화된 정도에 따라 갈탄, 역청탄, 무연탄으로 나뉘는데, 갈탄은 주로 북한에 매장되어 있고, 역청탄은 우리나라에 매장되어 있지 않아 전량 수입합니다. 마지막으로 무연탄은 강원도, 충북, 경북 등지의 탄광에서 생산하기도 하였는데 현재는 지표면 가까이에 매장된 무연탄이 고갈되어 갱도 깊숙히 들어가야 채굴할 수 있으나 경제성이 낮아 1990년대에 와서 거의 대부분의 탄광이 정리되었습니다. 그래서 현재 우리나라의 요소 생산은 활발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하지만 전혀 생산하지 않는것은 아닙니다.
 
국내 차량용 요소수 시장을 살펴보면 삼성정밀화학(현, 롯데정밀화학)이 과거에 유일하게 요소를 생산했던 공장이었으나 2011년에 문을 닫았습니다. 현재는 몇몇 업체가 요소수 관련업체로 이름이 거론되는데, 국내 요소수 시장에서 롯데정밀화학이 시장점유율 1위, KG케미칼이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원료 자체를 만드는것이 아니라 요소를 수입해서 요소수로 만들어 판매하는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롯데가 확보한 요소가 국내 소요 물량의 3개월치에 해당하는 요소수를 만들수 있는 양이어서 관련기사들도 나오고 있죠. 3개월치 재고있다고.. 유니온의 경우 요소수 브랜드인 불스원의 지분을 가지고 있어서 요소수 관련업체로 이름이 뜹니다. 요소는 농업용 비료로도 사용되므로 비료 관련 시장도 살펴보면 조비, 남해화학, 효성오앤비, 누보 등이 비료관련 업체입니다. 
 
 

경유차 요소수 대란? 내 차는 해당될까

경유차 요소수 대란이라는 기사를 접하고 덜컥 겁부터 난다. 한 때 요소수 대란으로 화물차가 멈춰서고 택배도 멈추고 난리가 난 기억이 있기도 했지만, 올해 7월 처음으로 경유차를 사서 타고

al.thevandis.com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